HTML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방법 | |||
HTML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img>태그를 사용합니다.
<img>태그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은 이미지 경로를 지정하는 src 속성입니다. 만일 이미지 파일과 HTML 파일이 같은 폴더내에 있다면 그냥 이미지 파일명만 입력해 주면 됩니다.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width 속성과 height 속성을 사용합니다.
이미지에 링크를 거는 경우 링크가 걸린 이미지라는 것을 표시해주기 위해서
위의 예제에서 border 속성을 지우고 테스트 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들이 HTML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할때 가장 실수를 많이 하는 부분이 바로 이미지 경로입니다. |
이미지 경로 -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 |
이미지의 경로를 지정하는 방법은 절대경로와 상대경로가 있습니다. 1. 절대경로 이미지의 절대적인 경로로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절대경로는 고유한 경로입니다. 보통 홈페이지 제작시 자신의 컴퓨터에서 HTML 문서를 만들고 그래서 일반적으로 절대경로보다는 상대경로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삽입하는게 좋습니다. | |
2. 상대경로 상대경로는 이미지를 삽입할 HTML 문서를 기준으로 경로를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이미지 파일이 HTML 문서와 같은 폴더에 있는지, 먼저 HTML 문서와 이미지 파일이 같은 폴더에 저장되어 있다면 하위폴더로 이동하는 방법은 하위폴더명를 적어주고 슬래쉬(/)를 입력해 주면 됩니다. 보다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html 문서는 index.html이라고 하고, index.html 파일이 c:home 폴더에 위치하고있고 상위폴더로 이동하는 방법은 ../ 이와같이 표현합니다. index.html 파일이 c:home\doc 폴더에 위치하고있고 ../ 를 통하여 일단 상위폴더로 나간다음(c:\home 폴더) 다시 images 폴더로 들어가는 거죠. 절대경로와 상대경로를 처음 접하면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지만 |
이미지 포맷 - 홈페이지에서 사용하는 이미지의 종류 |
홈페이지에서 사용하는 이미지는 대표적으로 jpg, gif, png 파일이 있습니다. 1. GIF GIF 파일은 색상 수를 줄여 이미지의 용량을 줄이는 방법을 쓰는 형식입니다. 색상을 표현하는 수가 적다는 단점이 있지만 적은 수의 색상으로구성되는 경우 이미지의 용량이 기타 움직이는 gif 애니메이션 파일과 투명배경이 필요한 이미지를 만들때 사용합니다. 2. JPG 압축으로 인한 이미지 손실에 적어서 이미지 저장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입니다. GIF 포맷과는 달리 JPEG는 RGB 이미지에서의 모든 컬러 정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3. PNG Portable Network Graphics의 약자로 인터레이스 기능을 지원하며 JPEG와 같이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 등장한 포맷입니다. GIF처럼 색상수를 줄여 압축하는 형식의 이미지 포맷이며 GIF 보다 10~30% 정도의 뛰어난 압축률을 제공합니다. GIF와 JPEG에 이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웹 이미지 포맷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이미지 정렬(align) | ||||
HTML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하면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정렬됩니다.
<img>태그에 align 속성을 사용하면 이미지와 텍스트의 배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
| ||||
이미지와 텍스트의 자연스러운 배치를 위해서 많이 사용하는 align 속성값은 left와 right입니다.
이미지와 텍스트의 여백을 조정할려면 추가적으로 vspace와 hspace 속성을 사용하면 됩니다. vspace는 vertical space, hspace는 horizon space의 약자입니다.
|
'Web Development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배경(background) 과 테이블(table)에 대해서 (0) | 2009.06.05 |
---|---|
[Html] 색(color) 과 HTML 색상표 모음 (0) | 2009.06.05 |
[Html] 텍스트 관련 태그 와 링크(Link) 에 대해서 (2) | 2009.06.05 |
[Html] 줄,표제에 대해서 (0) | 2009.06.05 |
[HTML] 구성요소 (0) | 2009.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