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선택자(Selector) | ||||
CSS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선택자(Selector)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택자(Selector)의 종류 선택자(Selector)는 아래와 같이 4개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공통 선택자(Universal Selector) 공통 선택자(Universal Selector)는 *로 표현되는 선택자입니다.
위와 같이 정의하면 모든 element 에 color: gray; 라는 스타일을 지정한다는 의미입니다. 타입 선택자(Type Selector) 타입 선택자(Type Selector)는 p, div, span, table, td, form...등과 같은 HTML 태그를 선택하는 선택자 입니다.
이런식으로 정의하면 P element에 color: gray; 라는 스타일을 지정한다는 의미입니다. ID 선택자(ID Selector) #이라는 지시어를 사용하면서 element의 아이디값을 지정해주면 됩니다.
위와 같이 지정하면 id 값이 gray_text 인 element에만 스타일이 적용됩니다. Class 선택자(Class Selector) .이라는 지시어를 사용하면서 element의 클래스값을 지정해주면 됩니다.
위와 같이 지정하면 클래스 값이 gray_text 인 element에만 스타일이 적용됩니다. |
Class 선택자(Class Selector) | ||
아래는 클래스 선택자를 사용한 예제입니다.
CSS 선언부를 살펴보면 먼저 * 공통 선택자를 이용하여 문서 전체의 font-size를 9pt로 지정했습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총 4개의 클래스 선택자가 정의되었습니다. 제목을 표시하는 title, 소제목을 표시하는 sub_title, 클래스를 어떤 식으로 지정할지, 그러기에 경험이 쌓이다 보면 자신만의 클래스를 규정하는 방식을 가지게 됩니다. 위의 예제에서 특이한 부분이 클래스 선택자와 타입 선택자를 혼용하여 사용한 부분입니다.
이런 식으로 클래스는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lock-level과 inline-level | |||
HTML element 를 크게 2가지로 구분해보면 head element 처럼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element가 있고 div, p, table...과 같은 element 처럼 화면에 표시되는 element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릭 화면에 표시되는 element를 다시 두 가지로 분류하면 block-level과 inline-level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block-level과 inline-level의 구분
위와 같이 block-level element인 div element를 연속으로 2개를 넣으면 각각 한라인을 차지하게 됩니다. 반면 inline-level element는 한줄에 옆으로 여러개가 위치할 수 있습니다.
물론 block-level element가 한줄을 다 차지한다고 하더라도
기타 다른 차이점은, block-level element는 inline-level element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는 불가능합니다. 다소 개념적인 부분이라서 쉽게 이해하기 힘들 수도 있지만 block-level elements
inline-level elements
|
'Web Development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完] 마우스 커서,스크롤바 색상,링크 색상,필터,인쇄,ime-mode,포지셔닝(Positioning) 에 대해서 (0) | 2009.06.05 |
---|---|
[CSS] table에 대해서 (0) | 2009.06.05 |
[CSS] 글꼴(Font) 스타일,Box Model,리스트(list) 에 대해서 (0) | 2009.06.05 |
[CSS] 배경(background)에 대해서 (0) | 2009.06.05 |
[CSS] 텍스트 에 대해 알아보자. (0) | 2009.06.05 |